"직업정보제공사업"이란 신문, 잡지, 그 밖의 간행물 또는 유선ㆍ무선방송이나 컴퓨터통신 등으로 구인ㆍ구직 정보 등 직업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합니다.
직업정보제공사업을 하는 자는 다음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.
1. 구인자가 구인신청 당시 「근로기준법」 제43조의2에 따라 명단이 공개 중인 체불사업주인 경우 그 사실을 구직자가 알 수 있도록 게재할 것
2. 「최저임금법」 제10조에 따라 결정ㆍ고시된 최저임금에 미달되는 구인정보를 제공하지 아니할 것
3. 구인자의 업체명, 성명 또는 사업자등록증 등을 확인할 수 없거나 구인자의 연락처가 사서함 등으로 표시되어 구인자의 신원 또는 정보가 확실하지 않은 구인광고를 게재하지 않을 것
4. 직업정보제공매체의 구인ㆍ구직의 광고에는 구인ㆍ구직자의 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기재하고,직업정보제공사업자의 주소 또는 전화번호는 기재하지 아니할 것
5. 직업정보제공매체 또는 직업정보제공사업의 광고문에 “(무료)취업상담”ㆍ“취업추천”ㆍ“취업지원”등의 표현을 사용하지 아니할 것
6. 구직자의 이력서 발송을 대행하거나 구직자에게 취업추천서를 발부하지 아니할 것
7. 직업정보제공매체에 정보이용자들이 알아보기 쉽게 법 제23조에 따른 신고로 부여받은 신고번호(직업소개사업을 겸하는 경우에는 「직업안정법」 제18조에 따른 신고로 부여받은 신고번호 또는 「직업안정법」 제19조에 따른 등록으로 부여받은 등록번호를 포함한다)를 표시할 것
8. 「최저임금법」 제10조에 따라 결정 고시된 최저임금에 미달되는 구인정보, 「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」 제4조에 따른 금지행위가 행하여지는 업소에 대한 구인광고를 게재하지 아니할 것
직업정보제공사업은 구체적인 직업상담 및 취업추천을 하거나 구직자의 이력서를 발송하는 행위 등을 대행할 수 없지만, 직업소개사업은 고용계약의 성립을 알선하기 위하여 직업상담 및 취업추천 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.
직업정보제공사업의 신고를 하려는 자는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서에 수지예산이 포함된 사업계획서, 법인인 경우 정관 및 그 설립을 증명하는 서류, 「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」이나 그 밖의 법률에 따른 등록 또는 인가ㆍ허가 등이 필요한 사업인 경우에는 그 등록 또는 인가ㆍ허가 등을 증명하는 서류 사본 등을 첨부하여 직업안정기관의 장에게 제출해야 합니다.
'교육·직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업정보제공사업의 신고 (0) | 2023.01.25 |
---|---|
가사서비스 제공기관 인증신청을 위한 요건 (1) | 2023.01.22 |
유료직업소개소 사업계획서 작성 대행 (0) | 2023.01.15 |
직업정보제공사업과 직업소개사업의 구별 (0) | 2023.01.11 |
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지정신청 (0) | 2023.01.09 |